엔플레이션 (enflation)은 ESG (환경,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 경영에서 환경 (environment)과 인플레이션 (inflation)을 합친 단어이다.
기업들이 ESG 경영에 집중할수록 막대한 비용이 투입될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물가가 상승할 가능이 높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즉, 엔플레이션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물가상승세가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Principal Global Investor의 Seema Shah (Senior Global Investment Strategist)는 11월 23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중앙은행이 물가 전망에서 ‘E(환경)’의 영향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하면서 “앞으로 많은 중앙은행들이 물가를 논의할 때 기후문제 해결 비용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Shah 수석은 11월 중순 발행한 리포트에서 엔플레이션 위험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는데, 이것은 기업의 환경 비용이 늘어났는데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이것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기업들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유럽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비용을 부과하는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면제 대상이던 유럽연합(EU) 내 기업도 2026년부터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탄소배출권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런던 대학교 연구팀은 2030년 탄소배출권 구입 비용이 지금의 10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 변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에게는 경영환경에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처벌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기업에게 환경문제 책임을 묻는 판결도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2021년 5월 네덜란드 법원으로부터 탄소배출량 감소 명령을 받은 Royal Dutch Shell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기업에게는 ESG와 관련한 일자리의 높은 임금 그리고 연구개발(R&D) 투자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부담이다. 기업들이 이런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가계는 물론이고, 기업가치에도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COVID-19 이후 유럽이 천연가스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석탄 그리고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 가격이 치솟았다. 녹색에너지 전환으로 화석연료 투자가 줄어든 것은 가격 상승을 부채질한 원인 중 하나이다. 즉, 그린플레이션이다. 여기에 엔플레이션까지 더해지면 물가가 안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Nordia Asset Management의 Sebastian Galli (Senior Macro Strategist)는 “ESG 비용 부담이 늘고 석유와 천연가스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10년간 물가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각국이 2050~2070년 사이에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히면서 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32조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문제가 해소돼 유무형 이익이 생기지만 이를 위한 사회적 부담도 늘어난다.
Federated Hermes의 Philip Orlando (Chief Equity Market Strategist)는 “ESG 혁명은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이다.”고 말했다.
1개의 댓글
Are all of these articles written yourself or did you hire a writer?